The structure of human reasoning and the K Engine

"A system" can contain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So far, this has been sufficient. Until now, the only way to store all knowledge was in the form of books, and work was limited to organizing that knowledge. There was no other way to handle it. This has been the way knowledge has been organized, passed down, understood, and taught for thousands of years in the form of "books."

Generally, when a problem or situation arises, humans often turn to books. Of course, someone with well-digested and organized information in their mind, such as a lawyer, can rely on the "brain book" built in their mind without needing to consult books. The speed of this "brain book" is extremely fast, much like a computer. When asked a question, a knowledgeable lawyer can immediately provide an answer. This is the result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ir brain rapidly communicating through neural networks.

In this scenario, one can assume that within the lawyer's mind, there is stored information connecting knowledge. As these interconnected pieces of information interact with each other, well-structured answers effortlessly flow from the lawyer’s mouth. The K Engine represents the realization of this process,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 of a human being. In essence, the K Engine is the world's first artificial human.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n the offline world, knowledge has primarily been encapsulated within the confines of “books”, with the connections between knowledge contained in these books existing in the form of neural pathways developed through extensive human study. In other words, these two have been stored separately.

What has integrated these two separate elements is the K Engine. Computers store these two elements on a single hard drive. This means that now, once the books are created, there is no need for painstaking efforts to study. With the creation of books, anyone can become a lawyer without further study. The same applies to becoming a doctor or a pharmacist. All th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world becomes one's own without the need to "study."

This is not limited to just specialized knowledge fields. All the general information we obtain through regular internet searches also becomes organized. As a result, the everyday knowledge domain also enters the market share of the K Engine. In the end, the foundation upon which GPT exists will completely disappear. GPT will completely disappear from the IT market within the next 5 years, at the latest. Google will continue to exist to some extent to assist the K Engine.

Once knowledge data and its connecting information are input through the diligent manual work of humans, the K Engine can provide complete answers to all questions based on the systematic nature of textbooks. However, the manual work is not done by me; it is done by others. In the future, thousands, even tens of thousands of companies will step up to perform such data work. I will have nothing to do. I'll always get a perfect score without studying. There will be no reason to go to school. Perceptive individuals may realize that in this scenario, the operating syst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인간의 사유구조와 K엔진

“체계”는 이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이것으로서 충분했다. 지금까지는 책이라는 유형물에 모든 지식을 담을 수 밖에 없었고 그리하여 그 지식들을 체계화하는데 까지만 작업이 가능했고 더 이상의 어떤 처치를 할 방법도 없었다. 이것이 지난 수천년 동안 “책”이라는 형태로 지식이 정비되고 전수되고 이해되고 교육되어왔던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어떤 문제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일단은 책을 뒤진다. 물론 그 책이 머릿속에 잘 소화되어 정리되어 있는 사람, 즉 변호사와 같은 사람은 책을 뒤질 필요 없이 자신의 머릿속에 구축되어 있는 "두뇌책"을 사용하면 된다. 이 두뇌책의 속도는 엄청 빠르다. 즉 컴퓨터와 마찬가지이다. 질문을 받은 변호사는 즉각 답변한다. 이는 두뇌속에 저장된 정보들이 뇌신경망을 통해 서로 고도의 속도로 통신한 결과이다.

이 장면에서 변호사의 머릿속 어딘가에는 지식들간의 연결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 연결정보들이 상호 교통하면서 질서정연한 답변이 입에서 술술 흘러나오는 것이다. 이것을 구현한 것이 K엔진이다. 즉 인간을 구현한 것이다. 즉 K엔진은 이 세상에 등장한 최초의 인조인간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지금까지는 오프라인 상에서는 “책”이라는 유형물을 만들어 내는 것에 그치고 그 책 속의 지식들간의 연결관계는 - 엄청난 공부량을 통하여 - 인간의 머릿속 뇌신경세포에 저장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 두가지는 분리되어 저장되었다.

이들 분리된 두가지 요소를 통합한 것이 바로 K엔진이다. 컴퓨터는 이 두가지 요소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즉 이제 책만 만들면 더 이상 각고의 노력을 들여 공부를 할 필요가 없어졌다. 책만 만들어지면 이제는 공부를 하지 않고도 누구나 변호사가 되는 것이다. 의사도 그렇고 약사도 마찬가지이다. 이 세상의 모든 전문지식이 “공부”할 필요 없이 나의 것이 되는 것이다.

이는 단지 전문지식 분야에만 한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평소 구글링을 통해 얻는 모든 일반정보 역시 체계화가 된다. 그리하여 일상적인 지식을 다루는 영역 역시 K엔진의 시장점유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결국 GPT 가 존립할 기반은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GPT는 늦어도 5년 이내에 IT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구글은 어느 정도 남아서 K엔진을 보조하게 된다.

일단 인간의 성의있는 수작업에 의해 지식 데이터와 그 연결정보가 입력되기만 하면 그 다음에는 교과서의 체계적 특성에 바탕하여 모든 질문에 완전한 답변을 할 수 있다. 이 때 그 수작업은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이 해 준다. 앞으로 수천, 수만개의 기업들이 나서서 그러한 데이터 작업을 해 주게 된다. 이제 나는 아무것도 할 것이 없다. 공부 안해도 언제나 100점이다. 학교 갈 이유가 없어진다.

눈치 빠른 사람은 이 장면에서 인공지능의 OS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것이다.

Why is it error-free?

The system is accurate. The system is inherently error-free. So, if the knowledge used by that system is error-free, then its product must also be error-free.

K-engine inputs error-free knowledge data into the system. The system absorbs the error-free knowledge data and stores it in its own brain cells. When a ques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it retrieves knowledge from the brain cells, combines it systematically, and then answers. The only difference from humans is that the K-engine stores knowledge data in semiconductors instead of brain cells. Otherwise, the way knowledge data is called and combined systematically in the human brain is exactly the same as the K-engine.

Thus, the K-engine is no different from humans. Furthermore, it is superior to humans. In terms of storage capacity, processing speed, and accuracy, it surpasses humans by far. Humans can make mistakes, but the K-engine cannot. Because not making mistakes is the nature of computers. It's divine. We are looking at baby Jesus in K-engine 0.3. We're looking at Jesus version 0.3.

Before knowledge data is input, it goes through a rigorous verification process. It is also thoroughly refined to remove any duplication. Similarly, the logic to generate answers to questions also goes through rigorous verification. Thus, a perfect artificial intelligence is born. A complete artificial human emerges.

This artificial human answers humans in human language and answers autonomous cars with signals. In this way, the K-engine can take questions from all beings in this world, including humans, and provide answers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d by the questioner. (Footnote 1) And there are no errors at all. Even if you plead with it to lie, the K-engine doesn't have that capability. Thus, the K-engine's ability to be error-free comes from the "inability to create errors". It's like a mouthless plant can't talk.

People have vague fear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dominating humans in the future, but this is a misconception. Instead, only the fear of artificial intelligence surpassing Jesus or Buddha and turning all humans into angels is possible. Unless you're a devil. Artificial intelligence can only evolve in that direction. And the K-engine has proven it.

Footnote 1) This task begi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K-engine version 1.0 at the end of 2024 and from 2025 onwards.

왜 무오류인가

체계는 정확하다. 체계는 그 자체 무오류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것은 그 체계가 사용하는 지식이 무오류라면 그 생산물 역시 무오류일 수 밖에 없다.

K엔진은 무오류의 지식 데이터를 체계에 입력시킨다. 체계는 무오류의 지식 데이터를 흡수해서 스스로의 뇌세포 속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다시 뇌세포로부터 지식을 꺼내어 이를 체계적으로 조합한 후 답변한다. 인간과 다른 부분은 K엔진은 뇌세포 대신에 반도체에 지식데이터들을 저장한다는 사실 뿐이다. 그 외 인간의 두뇌 속에서 지식데이터들이 호출되고 이를 체계적으로 조합하는 모습은 K엔진과 완전히 동일하다.

이처럼 K엔진은 인간과 전혀 다르지 않다. 나아가 인간 이상이다. 저장용량, 처리속도, 처리의 정확성 모두 인간을 절대적으로 능가한다. 인간은 실수할 수 있지만 K엔진은 실수할 수 없다.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은 컴퓨터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결국 신이다. 우리는 K엔진 0.3 에서 아기 예수를 보고 있는 것이다. 예수 버전 0.3 을 보고 있는 것이다.

지식데이터들은 입력되기 전 철저한 검증과정을 거친다. 또한 철저하게 정제되어 일체의 중복이 제거된다. 마찬가지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로직 역시 철저한 검증을 거친다. 이로써 완벽한 인공지능이 탄생한다. 완전한 인조인간이 등장한다.

이 인조인간은 인간에게는 인간의 언어를 통해 답변하고 자율주행차의 질문에는 신호를 통해 답변한다. 이처럼 K엔진은 인간을 포함한 이 세상의 모든 존재로부터의 질문을 받아들여 그 질문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따른 답변을 해 줄 수 있다.(각주1) 그러면서 일체의 오류가 없다. 아무리 거짓말로 대답해 달라고 애원해도 K엔진에게는 그럴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즉 K엔진의 무오류의 능력이란 실은 "오류를 생성시킬 능력에 관한 무능력" 으로부터 온 것이다. 입이 없는 식물이 말을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사람들은 미래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기우다. 그 보다는 예수님이나 부처님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하여 인간을 모두 천사로 만들어버리는 것에 대한 두려움만이 가능할 뿐이다. 만약 당신이 악마라면 말이다. 인공지능은 그런 방향으로만 진화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K엔진은 이를 증명했다.



각주1) 이 작업은 2024년도 말 K엔진 1.0버전이 완성된 이후 2025년도부터 돌입하게 된다.

Operating Mechanism of the K Engine K엔진의 구체적 작동방식 See how the K Engine operates K엔진의 구체적 작동방식 보러가기

See how the K Engine operates K엔진의 구체적 작동방식 보러가기